미세먼지가 ‘나쁨’ 수준일때 협심증 위험이 25%까지 증가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고농도 미세먼지에 48시간 이상 노출되면 협심증 발병 위험이 높아졌다.
고대구로병원 심혈관센터 나승운 교수팀(고대구로병원 최병걸 박사·보건과학대학 보건환경융합과학부 김성욱 교수·이민우 연구교수 공동 연구팀)은 2004년부터 2014년까지 관상동맥 질환이 없는 연구대상자 6430명을 선정, 대기오염 노출 시간과 관상동맥질환 발병 위험도의 상관관계를 분석했다. 대기오염 측정치는 한국환경기술연구원의 발표 자료를 기준으로 했으며, 미세먼지(PM10), 황산화물, 질소산화물, 일산화탄소, 오존 총 5가지 항목으로 나눠 비교했다.

그 결과, 대기환경지수 '나쁨' 수준(미세먼지 농도 72시간 기준 평균 85㎍/㎥)은 대기환경지수 '좋음' 수준(미세먼지 농도 72시간 기준 평균 25㎍/㎥)일 때에 비해 협심증 발병 위험이 25%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미세먼지 농도가 평균 20㎍/㎥씩 증가하면, 협심증 발병 위험도 4%씩 증가했다.
미세먼지는 혈액에 유입돼 혈관에 염증을 활성화시키고, 이러한 염증이 협심증의 원인이 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미세먼지가 협심증 발병의 원인이 된다는 사실을 대규모 연구로 입증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나승운 교수는 “특히 여성이나 65세 이상 고령자, 고혈압 환자같이 심혈관계가 약한 사람은 마스크를 착용하거나 외출을 삼가는 등 미세먼지에 유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잡다한 이야기 > 생활속의 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엔진오일 알아보기 (0) | 2018.04.05 |
---|---|
은행별 ATM 인터넷 뱅킹 이용 불가 시간 (0) | 2018.03.31 |
신혼부부 대출 제도 (0) | 2018.03.30 |
'퇴직금 지급기준'부터 관리까지, 직장인 퇴직금 (0) | 2018.03.28 |
신형 K9출시 예정 (0) | 2018.03.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