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잡다한 이야기/정치 사회 경제 연예 문화

인도-파키스탄 관계의 주요 배경 및 갈등 원인과 현재 내용

by 여유로운 인생을 2025. 5. 9.
반응형

인도-파키스탄 관계의 주요 배경 및 갈등 원인:

  • 분단 (1947년): 영국 식민 통치 종식 후 인도 제국이 종교를 기준으로 인도와 파키스탄으로 분리되면서 대규모 인구 이동과 함께 폭력 사태가 발생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카슈미르의 귀속 문제가 해결되지 않아 분쟁의 씨앗이 되었습니다.
  • 카슈미르 분쟁: 카슈미르 지역은 주민 대다수가 무슬림이지만, 분단 당시 힌두교 지도자가 인도에 합류하기로 결정하면서 파키스탄과의 갈등이 시작되었습니다. 이후 양국은 카슈미르를 두고 여러 차례 전쟁을 벌였습니다. 현재 카슈미르는 인도령과 파키스탄령으로 나뉘어 있으며, 양국 간의 군사적 대치가 계속되고 있습니다.
  • 테러 문제: 인도는 파키스탄 내에 있는 무장 단체들이 인도 영토 내에서 테러 공격을 감행하고 있다고 주장하며 파키스탄에 책임을 묻고 있습니다. 파키스탄은 이를 부인하고 있습니다.
  • 수자원 갈등: 인더스 강은 파키스탄 농업과 경제에 매우 중요한 수원인데, 강의 상류를 인도가 통제하고 있어 수자원 배분을 둘러싼 갈등이 존재합니다.
  • 핵무기 경쟁: 양국 모두 핵무기를 보유하고 있어, 군사적 충돌이 발생할 경우 국제 사회의 우려가 큽니다.

인도 라팔전투기 인도국방부 자료

 

 

최근 상황 (2025년):

  • 카슈미르 총기 난사 테러 (2025년 4월): 인도령 카슈미르에서 총기 난사 테러가 발생하여 인도인 사상자가 발생했습니다. 인도는 이 테러의 배후로 파키스탄을 지목하며 강하게 비난했습니다.
  • 인도의 군사 작전 (2025년 5월): 인도는 테러에 대한 보복으로 파키스탄 영토 내 목표물을 공습하는 등 군사 작전을 감행했습니다. 파키스탄은 이에 맞서 인도군의 무인기를 격추했다고 주장하는 등 양국 간의 긴장이 고조되었습니다.
  • 교전 및 보도: 양측은 서로 상대방의 공격으로 인한 피해를 주장하며, 전투기 격추, 드론 추락 등의 보도가 나오고 있습니다.
  • 미사일 공격 및 전투기 격추 주장: 2025년 5월 7일, 파키스탄은 인도부터 미사일 공격을 받았다고 주장했습니다. 파키스탄은 중국산 '젠(J)-10C' 전투기로 인도군이 도입한 프랑스 '라팔' 전투기 3대를 격추했다고 주장했습니다. 인도령 카슈미르의 전투기 추락 현장에서 확인된 부품 잔해에서 라팔의 프랑스 제조사 '다쏘항공'의 로고가 발견되었다고 합니다.
  • 인명 피해: 파키스탄 측은 인도와의 교전으로 8일까지 민간인 31명이 숨지고 57명이 다쳤다고 밝혔으며, 인도는 파키스탄의 포격으로 민간인 12명이 숨지고 57명이 다쳤다고 밝혔습니다. 국제 사회는 양측에 자제를 촉구하고 있습니다.

젠(殲)-10C 중국공군 웨이보제공

 

 

 

주요 영향:

  • 영공 폐쇄 및 항로 변경: 파키스탄은 인도 미사일 공격 이후 자국 영공을 일시적으로 폐쇄했습니다. 이로 인해 파키스탄 영공을 통과하는 국제선 및 국내선 항공편 운항이 중단되거나 지연되었습니다. 인도 역시 북부 국경 지역 인근 공항들을 폐쇄하면서 항공 운항에 차질이 발생했습니다.
  • 항로 우회: 각국의 항공사들은 승객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하여 인도와 파키스탄 영공을 우회하는 항로로 변경하고 있습니다. 대한항공은 인천-두바이 노선을 남쪽 우회 항로로 조정했으며, 싱가포르 항공, 에바항공, 타이항공 등 다수의 아시아 항공사들도 유럽 및 남아시아 노선에서 파키스탄 영공을 피하고 있습니다.
  • 운항 취소 및 지연: 영공 폐쇄와 항로 변경으로 인해 인도와 파키스탄을 오가는 항공편뿐만 아니라 해당 지역을 통과하는 항공편들의 운항이 취소되거나 지연되는 사례가 속출하고 있습니다.
  • 안전 우려 고조: 미사일 공격과 전투기 격추 등 군사적 긴장이 고조되면서 민항기의 안전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파키스탄 군 대변인은 인도 미사일 공격 당시 파키스탄 영공에 한국 항공기를 포함한 57대의 민항기가 있었다며, 수천 명의 승객이 위험에 처할 뻔했다고 밝히기도 했습니다.
  • 항공사 주가 하락: 양국 간 무력 충돌이 격화되면서 항공편 운항 차질에 대한 우려로 일부 항공사들의 주가가 하락하는 등 경제적인 영향도 나타나고 있습니다.

현재 상황:

파키스탄은 일시적으로 폐쇄했던 영공을 일부 재개방했으나, 상황이 유동적이어서 추가적인 폐쇄나 항로 변경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각 항공사들은 상황을 주시하며 안전 확보를 위한 조치를 취하고 있으며, 승객들에게 운항 변동 사항을 안내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해당 지역을 여행할 계획이 있는 경우, 항공사로부터 최신 운항 정보를 확인하고 안전에 유의해야 합니다.

반응형